건강을 생각하는 분들이라면 오메가 지방산 함유라고 표시된 식품이 많아졌다는 사실을 잘 알고 계실 것입니다. 오메가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에 속합니다. 분자에 카복실산의 전형적인 작용기 이외에도 탄소 원자 사슬과 수소 원자 사슬의 이중결합이 존재합니다. 오메가 지방산은 대부분 불포화 상태이며, 탄소-수소 사슬에서 여러 개의 이중결합을 지닙니다. 오메가는 일반적으로 이 사슬에서 마지막 탄소 원자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사슬의 길이가 얼마나 되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번호는 사슬의 끝에서부터, 다시 말해 카복실기의 맞은편 끝에서부터 탄소 원자에 붙여나갑니다. 리놀렌산은 오메가-3 지방산에 속하며 3가의 불포화 지방산입니다. 리놀렌산은 사슬의 끝, 즉 COOH기의 반대쪽 끝에서부터 세 번째, 여섯 번째, 아홉 번째 탄소 원자에 이중결합이 있습니다.
여기서 오메가-3는 지방산을 나타냅니다. 왜냐하면 지방산 분자를 구성하는 탄소 사슬의 가장 끝에 있는 탄소로부터 세 번재 탄소에서부터 이중결합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리놀렌산과 아라키돈산은 오메가-6 지방산에 속합니다. 카복실산의 반대쪽 끝에서 계산했을 때 여섯 번째 자리에 첫 번째 이중결합이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오메가-6 지방산이라고 합니다. 아라키돈산은 총 4개의 이중결합을 지니고 있어서 4가의 불포화 지방산이며, 리놀레산은 2개의 이중결합을 지니고 있어서 2가의 불포화 지방산입니다. 일반적으로 오메가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에 속합니다. 우리 몸에 필요하지만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없는 지방산을 필수 지방산이라고 함에 따라 오메가 지방산은 반드시 음식으로 섭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필수 지방산으로는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이 있습니다.
리놀렌산은 흔히 알파리론넬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리놀렌산은 탄소-수소 사슬의 첫 번째 탄소 원자가 COOH기를 지니고 있는데, 이는 여러 다른 지방산에도 적용이 됩니다. COOH기의 바로 다음에 연결되는 첫 번째 탄소 원자를 알파 탄소 원자라고 합니다. 알파리놀렌산과 리놀레산은 필수 지방산이며 가장 중요한 지방산으로서 근래에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많은 음식물에는 필수 지방산이 풍부하게 들어 있지만, 지금까지 유기체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가 입증되지는 않았습니다. 물론 이 두 가지 필수 지방산은 유기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또 다른 물질의 기초가 됩니다. 즉, ALA는 오메가-3 지방산의 기초물질입니다. 왜냐하면 ALA는 사람의 몸에서 신진대사를 통해 에이코사펜타엔산(EPA)과 도코사헥사엔산(DHA)으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이 두 산은 이름이 복잡하지만, 유래를 따져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에이코사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하며 숫자 20을 뜻하고, 도코사는 숫자 22를 뜻합니다. 따라서 이 이름은 각각의 분자에서 탄소 원자의 수를 나타냅니다. 펜타엔과 헥사엔은 EPA가 5의 이중결합을, DHA는 6개의 이중결합을 하는 것을 가리킵니다. 즉 EPA는 5가의 불포화 지방산이고, DHA는 6가의 불포화 지방산입니다. 따라서 이 두 산은 오메가-3 지방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 두 지방산의 분자에서 마지막 이중결합이 세 번째 탄소 원자에서 형성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 두 오메가-3 지방산은 알파리놀렌산의 전환물질이나 영양보충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HA뿐만 아니라 EPA는 지방이 풍부한 참치, 고등어, 정어리, 청어, 연어 등에 들어 있고, 이 두 지방산은 우리 몸의 약 5~10% 정도를 차지합니다. 물론 이 물고기들은 자체적으로 DHA를 만든 것이 아니라 지방조직에서 DHA를 만드는 해초나 플랑크톤을 섭취합으로써 DHA를 얻는 것입니다. 이 지방산들은 특히 생후 6개월 이전의 유아 뇌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DHA에 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는 모유와 우유 중 어느 것이 유아에게 좋은지를 둘러싼 논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유아용 유제품을 먹는 유아들의 DHA 공급량은 모유를 먹는 유아의 DHA 공급량의 1/2에 불과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유아의 체내 지방에 들어 있던 DHA는 분해되어 뇌로 보내집니다. 이는 유아의 망막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임산부는 DHA를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신경을 써야 합니다. DHA는 구조지방과 저장 지방이라는 또 다른 구조 기준을 제시하며, 생명체에 필수적인 구조 지방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그런데 지방은 지나치게 많아지면 우회를 거쳐 저장 지방의 형태로 입에서 허리로 전달됩니다. DHA를 공급하는 또 다른 원천은 지방이 풍부한 바닷물고기에서 나오는 생선 기름과 DHA를 만드는 해초입니다. 하지만 바닷물고기로는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DHA의 수요를 충족할 수 없어 앞으로는 해초 기름 섭취가 가장 좋은 대안으로 전망이 되고 있다고 합니다.
댓글